본문 바로가기
◎ [Hot Issue -핫 이슈]/-IT,과학

카카오, 음성 API 무료 이용 4배 확대...하루 2만건

by 그레인 2017. 1. 19.
728x90


카카오(대표 임지훈)는 카카오 음성 API 무료 이용 범위를 하루 2만 건으로 4배로 늘려 제공한다고 19일 밝혔다.


음성 기술이 2017년 전세계 IT 업계 화두인 인공지능 및 모바일 개인 비서 서비스의 근간을 이루는 핵심 기술 중 하나인 만큼,  이번 결정은 올 한 해 국내 인공지능 기술 발전의 촉매가 될 것이라고 회사측은 강조했다.


카카오는 지난 3년간 음성 기술을 필요로 하는 기업 및 개인의 다양한 요구를 확인하고  음성 API 무료 이용량을 기존 하루 5천 건에서 4배 늘리게 됐다고 설명했다.





카카오 김재범 미디어처리파트장은 “모바일 기기의 발전과 인공지능에 대한 관심 등에 힘입어 음성 기술에 대한 필요가 계속 증가하는 추세다. 음성 검색이나 음성 합성을 기반으로 한 서비스를 개발 및 상용화하는데 제약이 없는 수준을 검토한 끝에 하루 2만 건으로 음성 API 무료 이용량을 확대하게 된 것”이라며 “다양한 음성 기반 서비스의 출시는 궁극적으로 국내 음성 기술 수준의 향상과 개발 역량의 발전을 이끌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카카오는 입력된 목소리를 문자로 변환, 음성 검색 서비스를 가능케 하는 음성 인식 엔진 ‘뉴톤’을 자체 개발하고 2014년 2월, API를 개방했다. 같은 해 6월, 입력된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해서 사람이 읽어주는 것처럼 자연스럽게 들려주는 음성 합성 엔진 ‘뉴톤 톡’을 개발, 기존 음성 인식 API에 해당 기능을 추가해 인식과 합성이 모두 가능한 음성 API를 구현했다.


카카오에 따르면 현재 470여 기업 및 개인이 카카오 음성 API를 이용 중이다.  쇼핑, 교육, 병원 등 다양한 업종을포함하고 있다. 장애인 관련 서비스 및 기업에서도 음성 API를 활용하고 있다. 주소나 지역 명 등 검색 빈도가 잦은 배달 업종에서도 음성 검색 기능으로 효율을 높이고 있다.


카카오는 자체 서비스 내 음성 기술 적용 범위도 확대할 계획이다. 

현재 음성 검색이 가능한 카카오맵, 카카오내비, 다음앱 외에 카카오지하철과 카카오버스 앱에도 음성 검색 기능을 도입한다. 


상반기 중에는 음성 합성 엔진을 이용해 다음뉴스의 뉴스 콘텐츠를 음성으로 변환해 주는 뉴스 읽기 서비스도 추가할 예정이다. 






http://www.hellot.net/new_hellot/magazine/magazine_read.html?code=202&sub=004&idx=32750&page=1&list=all





반응형

댓글